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ubernetes
- 쿠버네티스
- 더블쿼터파운더 치즈
- 화랑대
- 카카오클라우드
- kakaocloud
- 도커
- 한성대입구역
- 리눅스
- Azure
- 웹 배포
- 더블쿼터파운더 치즈 세트
- Azure 자격증
- K8S
- 버거킹 오리지널스 솔티드 에그
- 애저
- 가상환경
- 수제버거
- docker
- 교내활동
- Terraform
- 오리지널스 솔티드 에그
- poetry
- az-900
- 리눅스 동아리
- dockerfile
- 오리지널스 솔티드 에그 싱글
- 테라폼
- 웹 서버
- 벅벅
- Today
- Total
클라우드 공부 일지
카카오클라우드 클러스터와 kubectl 사용해보기 본문
클라우드 동아리 심화 수업에서 진행할 클러스터 사용 실습을 준비해 보았다.
카카오클라우드는 콘솔 환경에서 간단히 클러스터와 노드풀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인 Kubernetes Engine를 제공하고 있다.
아래 기술문서를 참조해서 클러스터와 노드풀을 생성하였고 노드의 개수는 2개로 설정하였다.
https://docs.kakaocloud.com/service/container-pack/k8se/how-to-guides/k8se-manage-cluster
클러스터 생성 및 관리 | 카카오클라우드 기술문서
클러스터의 생성, 관리, 업데이트 방법 등을 설명합니다.
docs.kakaocloud.com
https://docs.kakaocloud.com/service/container-pack/k8se/how-to-guides/k8se-manage-node
노드 관리 | 카카오클라우드 기술문서
노드 관리, 노드 풀 생성, 업데이트 방법 등을 설명합니다.
docs.kakaocloud.com
그리고 클러스터를 제어할 VM을 생성해 주었고 kubectl을 설치해 주었다.
설치는 아래 공식 페이지 링크를 참조하길 바란다.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
sudo install -o root -g root -m 0755 kubectl /usr/local/bin/kubectl
https://kubernetes.io/ko/docs/tasks/tools/
도구 설치
컴퓨터에서 쿠버네티스 도구를 설정한다.
kubernetes.io
잘 설치되었는지 kubectl version --client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 준다.
kubectl version --client
wget을 통해 카카오 인증 클라이언트를 설치해 주었다.(Ubuntu 버전)
sudo wget https://objectstorage.kr-central-1.kakaoi.io/v1/9093ef2db68545b2bddac0076500b448/kc-docs/docs%2Fbinaries-kic-iam-auth%2FLinux%20x86_64%2064Bit%2Fkic-iam-auth -O kic-iam-auth
OS에 맞춰 여기서 인증 클라이언트를 다운받으면 된다.
kubectl 제어 설정 | 카카오클라우드 기술문서
Kubernetes 커맨드 라인 도구인 kubectl의 설치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합니다.
docs.kakaocloud.com
설치한 카카오 인증 클라이언트에 권한 설정을 한 후 /usr/local/bin 경로로 이동시켜 주었다.
sudo chmod +x kic-iam-auth
sudo mv kic-iam-auth /usr/local/bin/
이후.kube 폴더를 만들어주었고 카카오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kubectl 파일을 복사하여 수정한 후
vi를 통해 config 파일을 작성해 주었다.
sudo mkdir /home/ubuntu/.kube
sudo vi /home/ubuntu/.kube/config
kubectl get nodes 명령어를 통해 클러스터와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보았다.
kubectl get nodes
생성한 노드 두 개가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수업은 여기까지 진행하려고 한다.
개인적으로 카카오클라우드의 클러스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클러스터를 구축해보는 실습도 진행해봐야겠다.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를 사용하여 나만의 웹 배포하기(with kakaocloud) (1) | 2024.03.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