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8S
- 오리지널스 솔티드 에그 싱글
- 웹 배포
- 쿠버네티스
- 한성대입구역
- 가상환경
- 교내활동
- Azure 자격증
- 수제버거
- 테라폼
- 카카오클라우드
- 버거킹 오리지널스 솔티드 에그
- 더블쿼터파운더 치즈
- 오리지널스 솔티드 에그
- docker
- 더블쿼터파운더 치즈 세트
- 리눅스
- 애저
- Terraform
- 벅벅
- Azure
- poetry
- 도커
- kakaocloud
- dockerfile
- az-900
- Kubernetes
- 웹 서버
- 리눅스 동아리
- 화랑대
- Today
- Total
목록대학 생활/클라우드 학습 동아리 (8)
클라우드 공부 일지

4주차의 두 번째 수업은 VPC를 두 개 생성한 후 카카오클라우드의 Transit Gateway를 이용하여 VPC 간 통신을 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이번 실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ping 'vpc2-vm의 Private IP' 명령어를 통해 VPC 간 통신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0주차부터 5주간의 클라우드 기초 학습 동아리 활동이 마무리되었다. 학기 중에는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다루는 심화 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4주차(2) Transit Gateway를 활용한 VPC 간 통신 실습 방학 중 기초 학습 동아리 마무리 학기 중 심화 학습 시작

4주차의 첫 번째 수업은 카카오클라우드의 Object Storage와 File Storage를 이용한 간단한 실습을 진행해보았다. File Storage의 실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Object Storage의 실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또한 AWS S3 Client를 활용해 CLI 환경에서 API 인증키를 발급받아 버킷 생성 및 상세 내용 조회, 파일관리 등의 실습을 진행해보았다. 과제로는 오늘 진행한 실습을 복습하여 처음부터 혼자 진행해 보는 것으로 하였다. 4주차(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을 이용한 Object Storage 및 File Storage 실습 API를 활용한 Object Storage 실습 실습 복습

3주차의 첫 번째 수업은 3주차의 첫번째 수업 심화 버전으로 이전과 같은 구조에서 웹서버를 하나 더 생성한 후 로드밸런서를 생성하여 트래픽 분산을 하는 실습을 해보았다. 아래와 같이 미리 만들어둔 웹페이지를 통해 MySQL 연동 및 트래픽이 분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제로는 오늘 진행한 실습을 복습하여 처음부터 혼자 진행해 보는 것으로 하였다. 3주차(2) 로드밸런서를 통한 트래픽 분산 실습 실습 복습

3주차의 첫 번째 수업은 2주차의 심화 버전으로 bastion과 웹서버, MySQL VM을 설치해서 웹서버에서 MySQL VM의 미리 작성해둔 값을 조회하고 추가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또한 2주차 두 번째 시간에 내준 과제인 CIDR 발표를 각각 진행하였다. 과제로는 오늘 진행한 실습을 사용자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진행해보고 로드밸런스에 대해 공부해오는 것으로 하였다. 3주차(1) 2주차 심화 버전 실습 진행 CIDR 발표 실습 복습 및 로드밸런스 공부 과제

2주차의 두 번째 수업은 과제로 내준 bastion과 웹서버를 각각 만들고 웹서버에 이중 접속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과제로 만들어온 각 VM의 보안그룹을 확인해주고 오답노트 식으로 잘한 점과 개선하면 좋은 점들을 알려주었다. 또한 카카오클라우드의 MySQL 서비스를 Private Subnet에 생성한 후 연결하는 실습도 진행하였다. 과제로는 동아리 인원들이 어려워하는 CIRD을 간단하게 발표 준비를 하여 다음 활동시간에 발표하는 것으로 하였다. 2주차(2) 과제 오답노트 진행 간단한 DB 연동 실습 진행 CIDR 발표 준비 과제
2주차의 첫 번째 수업은 클라우드에 대한 간단한 이론과 카카오클라우드에서 VM을 생성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클라우드의 5가지 핵심 특성, 4가지 배포 모델, 3가지의 서비스 모델을 배워보았다. 또한 VM을 생성하기 전 알아야할 VPC, Subnet, Security Group, Public IP, KeyPair와 같은 개념들도 학습하였다. VM을 생성하고 접속하여 아파치 웹서버를 설치해 보았고 /var/www/html/index.html 파일을 수정하여 내가 원하는 간단한 웹페이지도 꾸며보았다. 이후에는 Public IP를 부여하여 직접 자신이 배포한 웹 페이지를 확인하는 실습을 마지막으로 2주차 이론 수업 파트를 종료하였다. 과제로는 Bastion과 웹 서버를 나누어 VM을 생성한 후 Bastion을..
0주차에 진행했던 인원 모집을 마치고 1주차에는 OT를 진행하였다. 함께 학교 후문에 있는 식당에서 점심 식사를 마친 뒤 함께 음료를 마시며 커리큘럼, 활동 시간을 공지해 주었고 Q&A 시간을 가졌다. 또한 교수님께서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해야 할 것들을 알려주시는 등 많은 교훈을 주셨다. 다음 2주차부터는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학습을 하려고 한다. 1주차 OT 진행 교육자료 제작 교수님과의 단체 면담